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사회/역사

[] 임원경제지 이운지 4

(해외배송 가능상품)
공급사 바로가기
기본 정보
상품명 임원경제지 이운지 4
출판사 풍석문화재단
저자 서유구 저 임원경제연구소 역
출간일 2019-12-31
소비자가 33,000원
판매가 29,700원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적립금 1,400원 (5%)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임원경제지 이운지 4 수량증가 수량감소 (  140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이운지 怡雲志 4
임원경제지
서유구 저
임원경제연구소 역
풍석문화재단 (2019-12)
양장본 / 729쪽 / 152*225mm
ISBN 13 : 9791189801243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 풍석 서유구 선생이 우리의 전통문화와 생활지식을 16분야로 나누어 집대성한 백과사전이다. 서유구는 관념에 치우친 유학자들의 학문적 태도에서 벗어나 사람살이의 기본인 ‘건실하게 먹고 입고 사는 문제’를 풀고자 민중의 생활상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조선 · 중국 · 일본의 서적들을 풍부하게 참조하여 이 거작을 저술하였다.

《이운지》는 14번 째 지, 문화예술 백과사전으로, 총 8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학 백화사전인 《인제지》 다음으로 분량이 많다. 《이운지》는 〈은거지의 배치〉, 〈휴양에 필요한 도구〉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 〈서재의 고상한 벗들〉, 〈골동품과 예술감상〉, 〈도서의 보관과 열람〉, 〈한가로운 삶의 일과〉, 〈명승지 여행〉, 〈시문과 술을 즐기는 잔치〉, 〈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 로 총 10가지 대제목 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10가지 대제목에는 다양한 소제목을 나열해 설명하고 있어 그 내용이 매우 방대하고도 다양하다.

키워드 : 조선 실학, 백과사전, 선비, 도서, 여행, 풍류, 선비들의 취미생활,한국문화 , 조선생활풍속사, 조선후기, 한국민속, 한국전통문화

상세 책소개

《임원경제지》 14번 째 지(志) 《이운지(怡雲志)》, 문화예술 백과사전

《이운지》는 총 8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학 백과사전인 《인제지》 다음으로 분량이 많다. 《이운지》는 〈은거지의 배치〉, 〈휴양에 필요한 도구〉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 〈서재의 고상한 벗들〉, 〈골동품과 예술감상〉, 〈도서의 보관과 열람〉, 〈한가로운 삶의 일과〉, 〈명승지 여행〉, 〈시문과 술을 즐기는 잔치〉, 〈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 로 총 10가지 대제목 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10가지 대제목에는 다양한 소제목을 나열해 설명하고 있어 그 내용이 매우 방대하고도 다양하다.

총 권차 99~106으로 이루어진 《이운지》 중에서 권104과 권106를 엮어 《이운지》 4권으로 묶었으며, 〈도서의 보관과 열람〉(상)과 〈도서의 보관과 열람〉(하), 〈한가로운 삶의 일과〉, 〈명승지 여행〉, 〈시문과 술을 즐기는 잔치〉, 〈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 로 구성되어 있다. 〈도서의 보관과 열람〉(상)과 〈도서의 보관과 열람〉(하)에서는 책을 사고, 보관하는 방법과 함께 판각과 인쇄, 제본하는 방법을 기록했고, 서울 이외의 곳에 소장된 목판이라는 뜻의 “경외누판”을 실었다. 풍석은 규장각에서 진행한 편찬 사업에 주요 구성원으로 참여했는데, 이때 편찬한 《누판고》의 내용 중 많은 부분이 편입되어 있다. 〈한가로운 삶의 일과〉에서는 서재에서 한가롭게 지낼 때 하는 일들을 나열하였으며, 이를 사계절로, 하루 24시간으로 세분하여 기록하기도 하였다. 〈명승지 여행〉에서는 여행을 할 때 필요한 도구들을 나열한 후, 여행할 때 맞닥뜨릴 수 있는 불의의 사고에 대비해 주문과 부적, 산이나 먼 길, 밤길이나 배 등으로 여행할 때에 금기 사항들을 적었다. 〈시문과 술을 즐기는 잔치〉는 ‘유상곡수(流觴曲水)’, ‘투호(投壺)’, ‘구후사(九侯射)’, ‘시패(詩牌) 놀이’, ‘남승도(攬勝圖)’ 등 5가지 놀이에 대한 이야기이며,〈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는 세시 풍습의 목록과 한 철의 명절, 각종 모임과 그 운영 규약에 대한 해설을 정리하였다.

‘이운(怡雲)’이라는 서명은 풍석이 중국 남조시대 양나라 처사인 도홍경(陶弘景)의 일화에서 ‘운(雲)’자와 ‘이(怡)’자를 따서 지은 것인데 ‘산중의 구름을 혼자서 즐긴다’의 뜻으로 “임원에 살면서 여가에 즐길 만한 일들”을 《이운지》라는 책으로 엮은 것이다.
이운지 서문에 보면 서유구는 임원에서 고상하게 사는 일이 참으로 어려운 일임을 한 가지 이야기를 인용하여 보여주고 있는데 그 점이 매우 재미있다. 네 명의 사람이 상제에게 자신의 강녕(康寧)을 비는데, 앞의 세 명은 각각 “벼슬과 재산과 문장력”을 요구하였는데 상제는 모두 그 희망을 들어주겠다고 하였다. 하지만 네 번째 사람이 “임원에서 고상하게 수양하면서 세상에 구하는 것 없이 한 몸을 마치고 싶다”라고 하자 상제는 이마를 찡그리며 “이 혼탁한 세상에서 청복(淸福, 청아하고 한가롭게 사는 복)을 누리는 일은 불가능하니, 너는 함부로 구하지 말라. 다시 다음 소원을 말하는 것이 좋겠노라.”고 말하였다. 풍석은 이 이야기를 통해 임원에서 고상하게 사는 일의 어려움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러면서 풍석은 아무 까닭없이 인륜을 도외시하고 은둔하거나, 허유(許由)와 한음(漢陰)의 일화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맑게 하여 고상함을 기르고 한가로이 소요하며 유유자적”하는 삶의 풍도를 보여주자 함을 이운지 서문에 밝히고 있다.

〈도서의 보관과 열람〉은 ‘책 사기’와 ‘책 보관’, ‘침인(인쇄)’, ‘장황(제본)’, ‘경외누판’에 대한 기록이다. 풍석의 집안은 당시 조선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장서가로 알려져 있었다. 더욱이 풍석은 규장각에서 국가적 차원으로 진행한 편찬 사업에 주요 구성원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때 편찬한 《누판고》의 내용 중 많은 부분이 《이운지》 권6 “서울 이외의 곳에 소장된 목판”에 편입되었다.
‘책 사기’에서는 책 구하는 8가지 방도와 3가지 기술로 시작하는데, 다양한 주제의 책을 될 수 있으면 많이, 그것도 대를 이어서 구해야 한다고 말한다. 책을 살 때는 판각과 인쇄 상태를 보고, 목록을 보고, 편간의 낙질 여부만 확인해야지, 종이의 좋고 나쁨은 따지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책은 경학서, 역사서, 전문서, 문집류, 잡찬류, 소설류의 순으로 가치가 있고, 저술 연대가 오래된 책일수록 가치가 있다고도 했다.
‘책 보관’에서는 책 관리를 위한 건물이나 상자 등은 물론, 분류법과 훼손 방지법 등을 다루고 있다. 우선 책을 보관하는 장서각은 고지대에 통풍이 잘 되며 남향인 건물이 최적지라고 했다. 책을 보관할 때는 경經·사史·자子·집集 4부로 분류하거나 이에 더해 예禮·지志·류類로 세분한 뒤, 부별로 찌의 색깔을 달리하여 간단한 메모를 해두라고 했다. 좀벌레를 막기 위해 특정 나뭇잎을 책갈피 삼아 꽂아두거나, 햇볕을 쪼이는 등 책 관리법도 세심하게 기록해놓았다. 책을 소장할 때는 적어도 세 가지 이본異本을 갖추어, 이본마다 차이 나는 내용을 교감校勘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책의 출납사항을 엄격히 관리하여 책의 분실이 없도록 각별히 신경쓰라고 했다.
‘침인(인쇄)’에서는 목판, 목활자, 동활자 등을 만드는 방법, 중국의 사상 최대 편찬사업 결과물인 《사고전서四庫全書》를 만드는 데 쓴 활자판도 소개했다. 이 활자판을 취진판聚珍版이라 하는데, 취진판을 만들고 활용하는 방식을 15개의 조목으로 나누어 7개의 그림과 함께 해설했다. 이때 제작한 목활자만 해도 총 25만 여 자에 이른다.
‘장황’에서는 표지 색깔을 어떤 것으로 하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제작법을 설명했고, 조선본 책표지 제조 방식도 소개했다. 이어 책을 묶는 요점을 10가지로 정리하고 책함과 나무 책갑, 기타 책 휴대용 도구들을 만드는 법과 그 종류에 대해 해설했다. ‘경외누판京外鏤板(서울 이외의 곳에 소장된 목판)’에서는 《삼경사서언해》·《입학도설》·《가례집람》·《악학궤범》 등 경전류 39종, 《사기평림》·《용비어천가》·《경국대전》·《기자외기》 등 역사류 78종, 《동몽수지》·《성학집요》·《일성록》·《무예도보통지》 등 제자류 105종, 《초사》·《삼봉집》·《난설헌집》·《서계집》 등 문집류 300종으로 총 522종의 목판을 소개했다. 각 판본 소개에서는 책명, 권수, 편찬 시기, 편찬자, 소장처, 목판 상태, 인쇄한 종이의 수 등에 관한 정보를 수록했다.

〈한가로운 삶의 일과(연한공과)〉에서는 먼저 서재에서 한가로울 때 하는 일들을 나열한다. 즉 한가로운 정도에 따라 잔일을 하거나, 서안을 정리하거나, 벼루를 씻거나, 글자를 모사하거나, 시문을 짓거나, 졸거나, 누워있거나, 단편 글을 보거나, 장편 글이나 주석서를 보거나, 명상하거나, 벗들과 맑은 담소를 나누거나, 술을 조금 마시거나, 정원을 손질하거나, 금琴을 연주하거나, 향을 사르고 차를 달이거나, 바둑을 둔다. 또 닭 울음에 일어나서는, 온몸을 깨우는 운동을 함으로써 하루를 시작하고, 잠들 때까지 평온한 일상을 보내는 법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여기에다 계절에 따라 다른 사계절의 일과와, 시時가 지남에 따라 다른 하루 일과를 보완했다. 모두가 몸을 해치지 않고 하루를 여유 있게 보낼 수 있는 방법들이다.

〈명승지 여행〉에서는 행장을 일별한 후, 여행 중에 생길지 모를 불의의 사고에 대비해 주문과 부적, 긴급한 상황 대처법을 소개한다. ‘여행도구’에서는 먼저 《섬용지》 권4 〈탈 것〉 ‘여러 여행 도구’와 서로 참조해서 보라고 언급하고, 여행 때는 일행이나 행장이 많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고는 여행 수단인 여행용 수레와 등산용 가마의 용도, 구조, 만드는 법, 이용법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서 방한 두건, 여행용 신발, 미끄럼 방지를 위한 징 박은 신발, 지팡이, 술잔과 물잔, 약상자, 호리병박, 시를 써서 주고받을 수 있는 시통, 시를 쓰는 종이, 시를 쓰기 위한 운韻이 적힌 운패, 술통, 차 도구, 휴대용 찬합인 제합提盒, 휴대용 화로인 제로提爐, 작은 물건들을 담는 상자인 비구갑備具匣, 옷 상자, 경치 좋은 곳에 까는 방석, 모기나 바람을 막기 위한 텐트, 향을 피울 재료를 담는 향구, 그릇이나 음식 일체를 수장하는 호리병 모양의 합과 등나무 합, 행장 상자 등 행장을 하나씩 소개했다. 이들을 소개할 때는 재료·모양·용도·제조법·예술적 가치·사용법·효과 등과 관련한 정보를 알려주었다.
〈시문과 술을 즐기는 잔치(문주연회)〉는 ‘유상곡수流觴曲水’, ‘투호’, ‘구후사九侯射’, ‘시패 놀이’, ‘남승도攬勝圖’ 등 5가지 놀이에 대한 이야기이다. 옛사람의 풍류를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내용이 많이 들어 있다. ‘유상곡수’는 술 마실 사람이 굽이진 시내에 술잔을 띄운 다음 산가지를 상류의 물로 던져 정한 규칙대로 흘러가지 않는 산가지 수만큼 술을 마시는 놀이이다. ‘투호’ 놀이는 인원과 도구, 음악 연주와 노래, 호壺에 들어간 화살에 점수 매기는 법 등 규정과 절차가 매우 복잡하다. ‘그림으로 보는 투호놀이 규칙’에서는 화살이 들어간 모양의 20가지 사례를 들어 점수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려준다. 총 120개의 화살을 먼저 넣는 사람이 이긴다. ‘구후사’는 큰 과녁에 다시 9개의 작은 동물 과녁을 설치해놓고 활 쏘는 놀이다. ‘시패 놀이’는 시패詩牌를 참가자에게 돌려 시를 짓게 한 뒤, 지은 시로 우열을 가리는 놀이이다. 시백(詩伯, 시패 놀이 진행자)의 주도로 운을 나누고 시 제목을 붙인 뒤, 600개의 시패 중 시백이 뽑아 건넨 시패의 글자로 시를 짓는다. 시를 다시 짓거나, 상대방이 읊은 시의 미비점을 보완하거나, 제목이나 운을 바꿔 짓거나, 우수리 패나 죽은 패로 시를 짓는 등 여러 방식으로 놀이를 진행한다. ‘남승도’는 주사위 놀이의 일종으로,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숫자에 따라 도판에 적힌 명승지를 유람하듯 옮겨가는 놀이이다.

이운지 4권은 거질의 백과사전을 남긴 풍석 서유구의 책에 대한 남다른 지식과 애정을 엿볼 수 있으며, 정조 최대의 편찬 사업의 기록인 《누판고》의 내용이 다수 수록되어 있어 매우 가치있다. 또한 풍류, 놀이와 여행과 바쁜 와중에도 한가로움을 즐길 줄 알던 풍석의 또 다른 면모를 엿볼 수 있으며 이런 와중에도 시간을 나누어 쓰던 그의 철두철미함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책이다. 


목차

이운지 권제6 怡雲志卷第六 임원십육지 104 林園十六志一百四

도서의 보관과 열람(도서장방) (상) 圖書藏訪 上

1. 책 사기 購求
1) 책을 구하는 8가지 방법 求書八道
2) 책을 사는 3가지 기술 購書三術
3) 책을 구입할 때는 책의 상태를 따지지 않는다 論購書毋問冊帙美惡
4) 책의 가치 論書籍輕重
5) 책의 진품과 위작 論書藉眞僞
6) 책의 이름과 실제 내용 論書籍名實
7) 책 수집의 완급 論書籍緩急
8) 고서 유통법 流通古書法
9) 송나라·원나라의 판각본 論宋、元刻本
10) 판각 지역 論刻地
11) 인쇄 종이 論印紙
12) 판매 論售賣
13) 책 가격 論書直
14) 판각본과 필사본은 가격이 다르다 論刻鈔異價

2. 책 보관 藏弆
1) 장서각(藏書閣, 도서실) 藏書閣
2) 서주 書廚
3) 우리나라 책 보관법 藏東本法
4) 찌지로 사부(四部)를 분류하는 방식 四部籤式
5) 좀벌레 막는 방법 辟蠹方
6) 책 말리는 법 曝書法
7) 책 관리법 護書法
8) 책을 소장할 때는 같은 책 3본(本)을 갖춰야 한다 論藏書必備三本
9) 서목(書目)의 양식 論書目義例

이운지 권제7 怡雲志卷第七 임원십육지 105 林園十六志一百五

도서의 보관과 열람(도서장방) (하) 圖書藏訪 下

1. 침인(鋟印, 판각과 인쇄) 鋟印
1) 누판법(鏤版法, 판목에 새기는 법) 鏤版法
2) 활판연기(活版緣起, 활판의 유래) 活版緣起
3) 교니활자법 膠泥活字法
4) 목각활자법(木刻活字法, 나무를 새겨 활자 만드는 법)
5) 취진판(聚珍版)의 격식 聚珍版式

2. 장황(裝湟) 【부록. 건(巾)·협(篋)·녹(簏)·급(笈)】 裝池 【附. 巾、篋、簏、笈】
1) 장황용 종이 만드는 법 造裝書紙法
2) 우리나라의 장황용 종이 만드는 법 造東本裝書紙法
3) 책을 엮는 10가지 요점(정서10약) 釘書十約
4) 서함(書函) 만드는 법 造書函法
5) 목갑(木匣, 나무로 된 갑) 만드는 법 造木匣法
6) 건(巾)·협(篋)·녹(簏)·급(笈) 巾、篋、簏、笈

3. 【부록】 경외누판(京外鏤板, 서울 이외의 곳에 소장된 목판) 【附】 京外鏤板
1) 경서류 經類
2) 역사류 史類
3) 제자류(諸子類) 子類
4) 문집류 集類

이운지 권제8 怡雲志卷第八 임원십육지 106 林園十六志一百六

한가로운 삶의 일과(연한공과) 燕閑功課

1. 총론 總論
1) 서재에서의 수행법 書室修行法
2) 제재(齊齋) 예사(倪思)의 10가지 즐거움 齊齋十樂
3) 맑고 한가로운 삶의 6가지 일 淸閑六事
4) 휴양의 일과 계획 怡養立成

2. 사계절의 일과 四時課
1) 봄의 일과 春課
2) 여름의 일과 夏課
3) 가을의 일과 秋課
4) 겨울의 일과 冬課

3. 하루 24시간의 일과 二六課
1) 진시(辰時, 오전 7~9시)의 일과 辰課
2) 사시(巳時, 오전 9~11시)의 일과 巳課
3) 오시(午時, 오전 11시~오후 1시)의 일과 午課
4) 미시(未時, 오후 1~3시)의 일과 未課
5) 신시(申時, 오후 3~5시)의 일과 申課
6) 유시(酉時, 오후 5~7시)의 일과 酉課
7) 술시(戌時, 오후 7~9시)의 일과 戌課
8) 해시(亥時, 오후 9~11시)ㆍ자시(子時, 오후 11시~오전 1시)의 일과 亥、子課
9) 축시(丑時, 오전 1~3시)ㆍ인시(寅時, 오전 3~5시)의 일과 丑、寅課
10) 묘시(卯時, 오전 5~7시)의 일과 卯課

명승지 여행 名勝遊衍

1. 여행 도구 遊具
1) 여행 도구는 간편해야 한다 論遊具宜簡便
2) 안차(安車, 여행용 수레) 安車
3) 편교(便轎, 등산용 가마) 便轎
4) 피운건(披雲巾, 방한 두건) 披雲巾
5) 운석(雲舃, 여행용 신발) 雲舃
6) 정리(釘履, 징 박은 신발) 釘履
7) 지팡이 杖
8) 영배(癭杯, 옹이로 만든 술잔) 癭杯
9) 영표(癭瓢, 옹이로 만든 바가지) 癭瓢
10) 약람(藥籃, 약 담는 바구니) 藥籃
11) 호로(葫蘆, 호리병) 葫蘆
12) 시통(詩筒, 시 쓴 종이를 담는 통) 詩筒
13) 시전(詩牋, 시 쓰는 종이) 詩牋
14) 운패(韻牌, 시의 운이 적힌 패) 韻牌
15) 주구(酒具, 휴대용 술그릇) 酒具
16) 다구(茶具, 휴대용 차 도구) 茶具
17) 제합(提盒, 휴대용 합) 提盒
18) 제로(提爐, 휴대용 화로) 提爐
19) 비구갑(備具匣, 여행 상비품 상자) 備具匣
20) 의갑(衣匣, 옷 상자) 衣匣
21) 좌전(坐氈, 털방석) 坐氈
22) 행장(行帳, 여행용 장막) 行帳
23) 향구(香具, 휴대용 향 도구) 향구
24) 호로합(葫蘆盒, 호리병 모양의 합) 葫蘆盒
25) 등합(藤盒, 등나무 합)
26) 여행 도구를 넣는 2가지 형태의 어깨 짐

2. 산에 오를 때의 부적과 주문 登陟符呪
1) 승산부(昇山符, 산에 오를 때의 부적) 昇山符
2) 오악도(五嶽圖) 부적 五嶽圖
3) 입산주(入山呪, 산에 들어갈 때의 주문) 入山呪
4) 육갑비축(六甲秘祝) 六甲秘祝
5) 산에 들어갈 때 주문 외우는 법 入山念法
6) 도수부(渡水符, 물 건널 때의 부적) 渡水符

3. 기타 사항 雜纂
1) 산에 들어갈 때 요사한 도깨비 물리치는 법 入山辟妖魅法
2) 산에 들어갈 때 뱀이나 독충 물리치는 법 入山辟蛇蠱法
3) 길 갈 때 밥 먹지 않고도 저절로 배부르게 하는 법 行路不吃飯自飽法
4) 먼 길 갈 때 발 보호하는 법 遠行護足法
5) 밤길 갈 때 노래 불러서는 안 된다 夜行忌歌唱
6) 밤길 갈 때 도깨비불 물리치는 법 夜行辟鬼火法
7) 밤길 갈 때 두려워하지 않는 법 夜行不恐懼法
8) 배를 타고 갈 때 바람 피하는 법 船行避風法
9) 물 건널 때 풍랑 두려워하지 않는 법 渡水不畏風波法
10) 배 없이 물 건너는 법 無舟渡水法
11) 산에 들어갈 때 피해야 할 시기 入山宜忌月日

시문과 술을 즐기는 잔치(문주연회) 文酒讌會

1. 유상곡수(굽이진 시내에 술잔 띄우며 시 짓는 놀이) 流觴曲水
1) 놀이의 기원 緣起
2) 차례로 술 마시는 일의 대략적인 법식 序飮凡例
2. 투호 投壺
1) 공동으로 필요한 인원 合用之人
2) 필요한 도구 合用之物
3) 투호 의례 儀式
4) 노고(魯鼓, 투호 의례 때 치는 북)의 박자 魯鼓音節
5) 〈이수(貍首)〉 장의 곡조 《貍首》 聲調
6) 시의 악곡(樂曲)을 연주하고 그치는 절차 詩樂作止之節
7) 시가(詩歌)를 연주하며 투호하는 절차 奏詩投壺之節
8) 투호격도(投壺格圖, 그림으로 보는 투호 규칙) 投壺格圖

3. 구후사(九侯射) 九侯射
1) 술 마시는 규칙 飮例

4. 시패(詩牌) 놀이 詩牌
1) 상아 시패 만드는 방식 平聲字二百飾以硃
2) 시패 나누는 방식[分牌式, 분패식] 分牌式
3) 운자 나누는 방식[分韻式, 분운식] 分韻式
4) 제목 붙이는 방식[立題式, 입제식] 立題式
5) 글자 쓰는 방식[用字式, 용자식] 用字式
6) 글자를 빌리는 방식[借字式, 차자식] 借字式
7) 승부 가리는 방식[較勝式, 교승식] 較勝式
8) 등급 매기는 방식[品第式, 품제식] 品第式
9) 갱가(賡歌)하는 방식[賡歌式, 갱가식] 賡歌式
10) 상대의 시 개작하는 방식[翻新式, 번신식] 翻新式
11) 남이 지은 시의 운으로 시 짓는 방식[和韻式, 화운식] 和韻式
12) 남은 시패로 시 짓는 방식[收殘式, 수잔식] 收殘式
13) 황패를 되살려 시 짓는 방식[洗荒式, 세황식] 洗荒式
14) 상대의 운으로 시 짓는 방식[疊錦式, 첩금식] 疊錦式
15) 차례로 시 짓는 방식[聯珠式, 연주식] 聯珠式
16) 대구(對句) 맞추어 시 짓는 방식[合璧式, 합벽식] 合璧式
17) 다양한 문체로 시 짓는 방식[煥彩式, 환채식] 煥彩式

5. 남승도(攬勝圖) 攬勝圖
1) 평식(枰式, 말판) 枰式
2) 주사위 던지고 술 마시는 전체 규칙 擲飮統例
3) 주사위 던지고 술 마시는 세부 규칙 擲飮條例

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節辰賞樂) 節辰賞樂
1. 세시 풍속의 총 목록 歲時總目
1) 월별 행사 月令演
2) 시골에서의 놀이 村居樂事

2. 절일(節日,한 철의 명절(名節))의 세부 내용 節日條開
1) 설날의 집안 잔치 歲時家宴
2) 설날의 전좌(傳座, 세배) 歲首傳座
3) 입춘의 춘반(春盤, 봄 음식) 立春春盤
4) 인일(人日, 정월 7일)의 높은 곳 오르기 人日登高
5) 대보름의 다리밟기 上元踏橋
6) 중화절(中和節, 2월 1일)의 풍년 기원 中和節祈豐
7) 춘사일(春社日)의 사반(社飯) 春社日社飯
8) 2월 2일의 나물 캐기 重二挑菜
9) 화조(花朝, 2월 15일)의 박접회(撲蝶會, 나비 잡기 모임) 花朝撲蝶會
10) 한식(寒食)의 들놀이 寒食郊遊
11) 3월 삼짇날의 계제(禊祭, 푸닥거리) 重三禊
12) 늦봄의 간화국(看花局, 꽃구경 모임) 季春看花局
13) 석가탄신일의 관등(觀燈) 놀이 佛生日觀燈
14) 4월의 비영회(飛英會, 날리는 꽃잎 즐기는 모임) 四月飛英會
15) 4월의 모란회(牡丹會, 모란 즐기는 모임) 四月牡丹會
16) 4월 보름의 결하(結夏, 하안거 시행) 四望結夏
17) 하짓날의 전파(田婆, 토지와 곡식의 신)에 제사지내기 夏至祭田婆
18) 단오절의 쑥떡[艾糕] 端午艾糕
19) 중하(仲夏, 5월)의 찬앵회(餐櫻會, 앵두 먹기 모임) 仲夏餐櫻會
20) 6월 6일의 폭서회(曝書會, 책 말리기 모임) 重六曝書會
21) 6월 보름의 유두회(流頭會) 六望流頭會
22) 복날[伏日]의 개장국[狗醬] 伏日狗醬
23) 관연절(觀蓮節, 연꽃 구경일)의 연꽃 감상 觀蓮節賞蓮
24) 삼복의 피서음(避暑飮, 피서하며 술 마시기) 三伏避暑飮
25) 칠석(7월 7일)의 걸교(乞巧, 길쌈과 바느질 잘 하도록 빌기) 七夕乞巧
26) 7월 7일의 폭서회(曝書會, 책 말리기 모임) 重七曝書會
27) 중원(7월 15일)의 우란분회(盂蘭盆會, 온갖 음식 공양하고 즐기는 모임) 中元盂蘭盆
28) 7월 보름의 하안거 풀기 七望解夏
29) 추사일(秋社日, 입추 후 5번째 무일)의 사반(社飯, 감사제) 秋社日社飯
30) 8월 8일의 이죽회(대나무 옮겨심는 날의 모임) 重八移竹會
31) 중추절(中秋節)의 달 구경 中秋賞月
32) 중양절(重陽節, 9월 9일)의 높은 곳 오르기 重九登高
33) 전중양절(展重陽節, 9월 19일)의 국화 감상 展重陽賞菊
34) 진나라 설날[秦歲首, 10월 1일]의 햇곡식 맛보기 秦歲首嘗新
35) 하원(10월 15일)의 달 감상 下元賞月
36) 동제(冬除, 동지 전날)의 밤 새기 冬除守歲
37) 동지의 집안 잔치 冬至家宴
38) 납일(臘日) 전의 매화 감상 臘前賞梅
39) 납회(臘會, 납일 모임) 臘會
40) 난한회(暖寒會, 추위 녹이는 연회) 暖寒會
41) 섣달 그믐날의 수세(守歲, 밤 새기) 歲除守歲

3. 때에 따라 모이는 모임 隨時會
1) 상치회(尙齒會, 경로 모임) 尙齒會
2) 난강(煖講, 복습 모임) 煖講
3) 관덕회(觀德會, 덕을 살피는 활쏘기 모임) 觀德會
4) 범주회(泛舟會, 뱃놀이 모임) 泛舟會
5) 생일회(生日會, 생일 모임) 生日會6) 월조탕병회(月朝湯餠會, 매월 초하루 탕병 모임) 月朝湯餠會
7) 월회 月會

4. 모임 운영의 규약 款約
1) 초청 請召
2) 예(禮)의 등급 禮數
3) 간소한 상차림 簡庀
4) 공과(功課, 모임 계획) 功課
5) 금기 사항 戒禁
6) 산림(山林) 속 교제의 맹약(산림교맹) 山林交盟

REVIEW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후기쓰기 모두 보기

Q&A

상품에 대해 궁금한 점을 해결해 드립니다.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